공지사항

MZ세대 직장인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 연구안내문 2024/12/17 08:03

 

연구 프로그램 안내문

 

MZ 세대 직장인은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고용불안, 높은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 자살 등의 정신건강문제를 경험하게 됩니다. 직장인의 우울 및 자살 문제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손실과도 관련되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으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여 직장인의 우울 예방 및 관리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Z세대 직장인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하여 맞춤형 메타버스 기반 우울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성, 실행가능성 및 대상자의 수용성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우울예방에 미치는 예비효과를 검증하고자 합니다.
 

 

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MZ세대 직장인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맞춤형 우울 예방 프로그램의 타당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입니다. 

 

2.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1) 만 19세 이상 2) MZ세대(1980~2005년생) 3) 경력 1년 이상의 현재 직장에 소속된 분 입니다. 

 

그러나 현재 무직 상태, 근무 경력이 1년 미만인 분은 연구참여가 제한됩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른 정신건강 프로그램 또는 상담에 참여 중이거나, 정신질환을 진단받고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분은 참여가 제한됩니다. 

  

3. 프로그램 참여 안내: 본 프로그램은 MZ세대 직장인의 우울 자살예방을 목적으로 온라인 프로그램과 메타버스 그룹코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구참여자는 마인드가이드 온라인 프로그램을 웹사이트(https://mindguide.kr)에 접속하여 약 5주동안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온라인 프로그램에서 수행한 활동을 중심으로 전문 코치와 함께 메타버스에서 그룹코칭을 받게 됩니다.  

 

4. 프로그램  연구 참여방법

본 연구에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마인드가이드 홈페이지(mindguide.kr)의 "연구참여 신청"을 통해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연구 참여 신청 링크] 

 

5. 프로그램 및 연구 참여절차:

마인드가이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신 분들은 사전설문지, 온라인 프로그램 참여, Zoom 그룹코칭 참여, 사후설문지,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순으로 프로그램 및 연구참여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 사전설문지 

연구참여자는 프로그램 참여 전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게 되며, 약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온라인 프로그램 참여

사전설문 응답 후, 연구참여자가 가능한 시간과 장소에서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마인드가이드 웹사이트( https://mindguide.kr )에 접속하여 온라인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됩니다. 

 AI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 5~6개의 모듈을 약 5주동안 진행하게 됩니다. 하나의 모듈은 3개의 회기로 구성되며, 하나의 회기는 약 20~30분 소요될 예정입니다. 

 

● 메터버스 그룹코칭 참여  

연구참여자는 1주일 동안 1개의 모듈을 수행한 후, 참여자 활동을 중심으로 전문 코치와 함께 몰입형 ZOOM에서 아바타를 활용해 익명성을 보장하며 그룹코칭을 받게됩니다. 그룹코칭은 주 1회 약 60분, 총 5~6회 진행될 예정입니다. 

 

● 사후설문지 및 프로그램 만족도 

온라인 프로그램과 메타버스 그룹코칭을 모두 완료한 분들은 사후 설문조사에 참여하게 됩니다.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위한 인터뷰가 신청자에 한해 약 60분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6.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보상: 프로그램 및 연구 참여절차를 모두 완료하신 분들께는 최대 9~10 만원 기프티콘 등의 답례가 순차적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답례 지급을 위해 휴대폰 번호을 수집할 예정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연구 참여 설명문에서 확인해 주세요. [연구 참여 설명문 링크] 

 

 

문의사항: 프로그램 및 연구 참여와 관련한 문의사항은 아래 연락처로 연락해 주세요. 

Email: mindguide.kr@gmail.com (H.P.: 010-9640-2885)

연구책임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김석선 교수 

연구보조원: 길민지, 김다은, 손연주, 신혜원 , 김보영, 김민정

 

files/20250104155720839.jpg